코로나19 고용충격 청년층이 중년층 보다 3배 높아

코로나19로 인한 청년층 고용 충격이 중년층보다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경제 위기에 대비해 청년 일자리 대책을 확대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이 15일 발표한 ‘코로나19 위기 중 지역별 청년 고용 추이’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인한 전국 평균 청년층 고용률의 최대 감소율이 중년층의 감소율보다 3배 이상 높았다.

▲ 뉴스핌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하반기 고용률과 비교해 30~54세 중년층 고용률은 2020년 상반기에 2.4% 감소하고, 2020년 하반기와 2021년 상반기엔 각각 2.3%, 1.5%씩 감소했다.

반면 15~29세 청년층 고용률은 같은 기간 7.7%, 4.5%, 1.8%씩 감소하며 더 큰 하락을 보였다.

코로나19 이후 청년층 고용률은 지역간 편차도 상당했다. 비수도권의 청년층 고용률 변화율이 수도권(서울·인천·경기)보다 최대 감소폭이 더 크고 회복 속도가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시기별로는 코로나19 위기 발생 초기인 2020년 상반기에는 국내 대부분 지역에서 청년 고용률이 급감했지만, 2020년 하반기 이후 회복기로 전환되면서 청년 고용률 변화율의 지역 간 편차가 확대됐다.

성별과 학력별로는 여성이나 고졸 이하 청년층 고용률이 코로나19 위기 초반 큰 폭으로 하락한 후 빠르게 회복된 모습을 보였다.

여성 청년의 2020년 상반기 고용률은 2019년 하반기 대비 8.6% 감소해 같은기간 남성(6.7%)보다 하락 폭이 컸다. 그러나 2021년 상반기에는 남성(-3.7%)과 달리 위기 전 수준 이상(0.2%)으로 회복했다.

고졸 이하 청년 고용률은 2020년 상반기 11.1% 감소해 전문대졸 이상(8.3%)보다 하락 폭이 컸으나, 2021년 상반기에는 0.7% 감소해 전문대졸 이상(-6.8%)보다 빠른 회복 속도를 보였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 관계자는 “중년층보다 청년층에서 훨씬 코로나19로 인한 고용 충격이 컸다는 점에서 향후 경제위기 대응 고용·노동 정책에서 청년 일자리 대책의 비중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그는 “지역별, 인적 특성별로도 고용률 추이의 차이가 크다는 점에서 향후 지역의 특수성과 정책대상자별 수요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한국건강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